Friday 21 March 2014

Business Korea Insider Perspective Article Repost

After the success of my original article Eight reasons why Korea has the Worst Productivity in the OECD I was lucky enough to have a edited and better researched version printed in the Business Korea Magazine.

Below is a full re-post of the article while the original can be viewed on Business Korea's Websi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even Reasons Why Korea has the Worst Productivity in the OECD



Korea was recently named the worst place for worker productivity in the OECD, which was featured in a recent article by this magazine. This news is not surprising for any professional previously or currently working in Korea, as the notorious overtime hours coupled with years of low growth have been a widely-discussed issue over the past few years.


So why are Korean workers, and therefore companies, apparently so unproductive? One big reason is a lack of time management skills in the general workforce. I was employed for over a year as Global Human Resources officer of a Korean multinational and completely immersed in the office culture in which I spoke only Korean as one of only two foreign employees in the Seoul based office. This immersion afforded me an inside view of the time management issues plaguing Korean offices, and have developed a list of 7 reasons why Korea has the worst productivity in the OECD.


1. Rigid Structures and Hierarchy
Korean corporate structures are notorious for their top-down approach and rigidity. Some experts even compare corporate Korea to an army division, such is the influence of military service and authoritarian leadership on the corporate landscape.


A byproduct of such rigid corporate structures is constant and unnecessary reporting to senior directors, as soldiers to a superior officer. Teams will brief department heads weekly, and sometimes even the board of executives on a regular basis. Also, if a director wants to know about something, regardless of whether it is of concern to their project goals, a team leader will be forced to present a report to the directors, usually within a very short deadline. The team leader will then drop whatever team-related work they were doing and have their team spend the next few days researching and preparing an over-the-top presentation for the director.


This constant cycle of ad hoc reporting ensures that there is little strategic work and movement within a company. Instead, the corporate environment feels like a fire department, where teams are always on-call for spot fires, and need to be ready to respond to unexpected problems immediately. From experience, my previous company was a never-ending merry-go-round of audits and presentations, which resulted in my team leader spending the majority of his time making PowerPoint presentations for the CEO, a situation he himself would lament as a waste of his time.


2. Communication Issues
Despite an enforced culture of regular drinking and socializing, Korean companies suffer from a lack of direct, honest,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eams themselves and departments will often function fairly well together. But the atmosphere of constant socializing by eating lunch together and after-hours drinking sessions has created the side effect of factions within a company. As a result, teams across departments become almost enemies. Inter-departmental links are non-existent, and business units within one company become suspicious and competitive. Poor communication always results in poor performance, and when there is poor interdepartmental relationships, performance suffers even more.


English communication is also a major issue at Korean corporations. Many Koreans, frustrated with the emphasis on English in their country, will question the necessity of English when they never use it in the workplace. Most Koreans think that learning English is only useful as a means to communicate with foreign business partners, or for use in business emails. But they overlook the fact that a world of resources and knowledge (case studies, annual reports, professional tips) is available to them via the Internet predominantly in English, and only a fraction of what is out there has been translated thus far into Korean. Foreign workers will always have the advantage of a simple Google search, which can provide hundreds to thousands of alternative information sources to what is available to a Korean limited to searching in Korean on a portal such as Naver.


3. Mobile Phones and Online Communication
Korea is a truly connected society with a fantastic broadband network providing some of the fastest Internet and LTE coverage in the world to its businesses. However, the ease and preference for communicating via online or through a messaging app on a phone is becoming a real issue in the workplace. Levels upon levels of an office building are so silent that they sound like a library. Everyone is tapping away furiously at their workstations, and you can easily presume it’s because everyone is working very hard. But check a screen and you’ll see that most workers are engaging in some form of online messaging, whether it be Kakaotalk’s desktop version, Microsoft, LYNC, or Nateon. Workers will normally be chatting away to office buddies - occasionally about work, but more often than not just wasting time. A silent rule of Korean society is that talking in the office gives off the appearance of not working, and so workers are forced to send messages via the Internet, even if the person they want to talk to happens to be sitting right next to them.


If it’s not the online messengers, then it’s the mobile phones. Workers seem to check them every ten minutes or simply get up to go out to receive a personal phone call.


In a recent survey of 706 office workers by job search portal Career.co.kr, it found that over 61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ey have a resting place at work. Of these 61 percent, a quarter said that they would escape to the toilets, with just under 45 percent responding that they use their phone during this time for games, Internet, SMS, and phone calls. Go into any office building toilet in Seoul and you will hear mobile message tones or game sounds going off like firecrackers.


4. Hungover Workers Taking Excessive Breaks
Korean companies encourage and pay for workers to enjoy after-hour dinners and drinks together on a regular basis, believing that it improves loyalt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workers. The only requirement is that they are at work the next day (preferably on time). It’s amazing after all these years that bonding is still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spect to a well-functioning team, and regular hangovers are just a small inconvenience.


Staff may as well not be at work the next day because a heaving, red-eyed, headache-ridden shell of what used to be a fully-functional worker is going to be useless for the entire next day without proper rest and recovery from the night before.


Smoking too is also a major issue affecting productivity. I do support the notion that workers benefit from regular rest breaks to get out of their seat to stretch and refresh, but the time taken to smoke is so great that non-smokers often feel that they are losing out, because they will effectively be spending, on average, 1 hour a day longer at their desks. Eventually the non-smokers catch on and begin to take 3 to 4 coffee breaks a day to also enjoy their extra hour of rest a day. In the same study by website Career.co.kr, it also found that nearly half of the 708 respondents would leave their desks to go to a rest spot three or four times a day. They would stay there for an average of 13 minutes.


5. Appearance Rules Over Substance
During my time at a Korean company, one of the observations that I made was that co-workers would spend two to three days adding in an array of fancy-looking shapes, images, flow charts and graphs to a PowerPoint presentation that contained roughly half a day of research. That is the power of perception in the Korean office, and it forces workers to spend ridiculous amounts of time “beautifying” simple reports that would take 10 minutes to present in an informal meeting or chat.


This penchant for giving off a favorable impression exists in most company teams and departments in the form of “Yes” men and women. These employees whose prerogative is to give off a favorable impression to their superiors will sacrifice personal opinions and honest feedback for the sake of appearing loyal and subordinate. Even if this gesture of loyalty is shallow and fake, it is still appreciated over genuine communication. Often did I witness co-workers blindly repeat “yes, yes, yes” to a senior employee’s orders without the slightest query as to “why” or “how,” leaving them with little understanding of the work they were agreeing to do, and eventually a resentment towards the ones giving the orders.



6. Poorly-equipped, Older Graduates
Korean graduate employees, despite extreme competition for jobs, are under-prepared for the workplace, and come with poor research and reporting skills. This is a side effect of an education system based around testing and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s. Many young graduates come into the workforce with next-to-zero work experience, bar a few obligatory volunteer activities.


This is astounding, especially considering a recent survey conducted by the Dong-A Ilbo and recruitment website Incruit.com, which found that the average age of new workers in Korea was a staggering 33.2 years of age for men (up from 27.3 in 2008) and 28.6 years of age for females. The advanced age of new Korean workers compared to the west is a result of 2 year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men, international gap years during university, and extra years spent studying for various certificates and qualifications viewed as “essential” for employment.


What that process creates is a workforce of inexperienced 30-somethings with no job experience and unrealistic expectations of work and money.  A 30-year-old Western applicant of similar age has almost 10 years of real work experience over a Korean, and there is no amount of education that can substitute for that kind of difference. Such is the disillusionment with company life that recruitment website Saramin last year found that a staggering 3 in 10 new employees quit within the first year of employment, with the majority citing that their jobs roles didn’t match their aptitudes - another sign that graduate employees are not prepared for the realities of the workforce.


7. The Art of Looking Busy
In business or social situations both, Koreans have a penchant for giving off the impression of being busy. Rarely will you meet a Korean that will they say they have relaxed recently. Being busy is the desired state and worn as a badge of honor.


This leads to Korean workers staying late, much later than any of their OECD counterparts, to give the impression of being busy. Unfortunately, staying late at the office does not equate into greater productivity, and although Korean work colleagues will claim to be very busy at work, the reality is that most are over-exaggerating their workload, which brings Parkinson’s law of time into effect.


Parkinson’s law is the adage which states that “work expands so as to fill the time available for its completion.” The Korean workforce all know that they will be expected to work overtime hours whether they have work or not - it’s again another test of perception, loyalty, and social pressure. So what naturally occurs is Parkinson’s law. Why finish your work by 5 o’clock when you know you will be at the office until 10 or 11 anyways?


I believe that this style of thinking is one of the biggest hurdles in overcoming the unproductive work culture in Korea. Korean workers must be honest with themselves in the fact that they are sometimes not really that busy, but that does not make them a lazy worker. Focusing on your work, finishing it on time, and going home on time is in fact the reverse of a lazy worker. This idea needs to be recognized and enforced in the Korean workplace.


I hope I was able to provide a little bit more insight into what issues some Korean companies are dealing with and some reasons as to why Korea has low productivity. Of course, this is a subjective view based on my experience in a Korean work environment, but it can perhaps provide some insights to others who wonder about the floor-level view of the OECD evaluation.
A lot of the issues I have outlined are not unique to Korea, and quite rightly exist in Western companies too. However, they can be magnified in South Korea due to the deep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that are ingrained into the national psyche. Hope lies in the next generation, who are undoubtedly tired of unsustainable work practices, and will struggle to remove themselves from the dogma of corporate life to affect real change in the future.

Saturday 8 March 2014

OECD 국가들 중 낮은 노동 생산성을 기록한 한국, 그 8가지 이유들

1.  엄격한 구조와 계층


한국 회사의 구조는 위아래 사람들간의 상명하달식의 의사소통 방법, 그리고 엄격함으로 악명 높다. 몇몇 전문가들은 심지어 한국 회사를 군대와 비교하기도 하는데, 대다수의 남자들이 경험한 군복무의 경험과 거기서 배운 리더십이 한국 회사의 전반적인 모습에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가 초래한 것은 지속적으로, 하지만 그렇게 필요하지 않은 회사 임원(or 상급자)에 대한 보고다.(마치 병사가 장교에게 or 장군에게) 회사의 각 팀들은 매주 자신의 부문장들에게 매주 브리핑을 하며, 때로는 심지어 대표에게 정기적으로 보고를하기도 한다. 만일 한 임원이 어떠한 것에 더 많이 알고 싶어할 때(그것이 자신의 업무에 크게 관계가 없다고 할 지라도), 팀장들은 어쩔 수 없이 급히 소집된 회의에서 그 안건에 대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 그리고 팀 리더는 각자의 팀에 돌아가 팀원들에게 그들이 하고 있던 업무를(보통 실제 그들의 업무) 제쳐두고, 며칠 간 팀원들의 임무는 임원이 알고 싶어하는 자료에 대한 조사 및 준비에 시간을 투자하라고 한다. 이렇게 해야 팀장은 자신과 상관없는 분야의 업무일지라도, 임원에게 잘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이 윗사람에게 잘 보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악순환이 회사가 추구하는 전략적인 작업과 움직임에 관계된 업무보다는, 팀의 상급자가 급하게 요청한 업무에 대해 처리하기 바쁘게 만들어버린다. 즉 일에 대한 우선 순위가 상급자에 의해 좌지우지 되기 쉽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쉽사리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제가 전에 몸 담았던 회사 또한 끊임없이 계속되는 회계 감사와 프레젠테이션의 연속이었다. 제가 있던 부서의 팀장 또한 종종 CEO에게 보고해야 할 PPT를 더욱더 보기 좋게 하기 위한 사소한 것들에 시간을 많이 빼앗기기도 했다. 만약 당신이 20년 후, 많은 경험을 쌓고 팀장이 되었는데 이렇게 사소한 PPT 작업에 시간을 쏟아야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시나리오일 것이다.


2.  의사소통 문제들


정기적인 회식과 친목 모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회사들은 직접적이고 진솔한, 그리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를 겪고 있다. 팀과 부서들은 종종 서로 유기적으로 업무를 잘 해나가지만, 이러한 지속적인 회식과 친목 도모 같은 일련의 활동들이 사실은 파벌을 만드는 부작용을 만들기도 한다. 그 결과, 팀과 자신의 팀과 연관이 없는 다른 부서는 약간의 적대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 내부 부서 사람들끼리는 이러한 문제가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종종 다른 부서의 팀들과의 관계는 서로 의심하고 경쟁하게 되는 관계가 되곤 한다.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는 종종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고, 부서 간의 관계가 좋지 않다면 그 결과는 더 끔찍하다.
저는 또한 여기에 분명히 영어와 연관된 분명한 이슈들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싶다. 회사에서 영어를 강조하는데 진절머리가 난 많은 한국인들은 왜 직장에서 사용하지도 않는 영어를 배워야 하는 지에 대해 종종 의문을 제기한다. 영어 공부를 오직 외국인들과 실제적인 대화를 위해서 필요하며,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로 하지 않는 영어로 된 이메일 쓰기를 위한 용도로 국한시키는 생각은 바뀌어야 한다. 많은 정보들이(Case Study, 연간 보고서, 각종 일 관련 팁들) 인터넷을 통해 접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은 압도적으로 영어로 적혀 있는 글이 많다. 만약 영어로 적혀있지 않은 소수의 정보들이 있다면 이것들 또한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번역되어있다. 많은 한국 직장인들은 이러한 사실을 간과한다. 외국인 직원들은 간단한 구글 검색으로 한국인들이 네이버에서 제한된 검색으로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수백, 수천가지의 다른 정보들을 접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휴대폰과 사내 커뮤니케이터


제가 위에 언급한 이유들 때문에 여러 사람들이 불편한 진실이라고 느꼈을 거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정말로 최고의 인터넷 속도와 LTE가 세상과 그들의 비즈니스 부분에까지 사회가 긴밀하게 서로가 연결되어있다. 하지만 카카오톡과 같은 메시징 앱과 스마트폰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편의성과 선호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치 도서관의 고요함과 같은 침묵이 있는 한국 회사의 건물 층마다 이러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전투적으로 자판을 치고 있는 회사의 모습을 당신이 보았다면 아마도 당신은 “Wow 정말 열심히 일한다”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한 번 더 살펴보면 꼭 그런 것 만은 아닐지도 모른다. 그들은 아마도 각종 사내의 커뮤니케이터를, 예를들어 카카오톡 PC버전, 마이크로소프트의 LYNC 또는 네이트온, 통해 회사 동료들과 열심히 채팅을 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가끔은 일에 대한 것ㅠ?) 이러한 것이 대개는 시간 낭비다. 더 가관인 것은 한국의 ‘눈치 문화(예전 포스트에서 논의한)’ 가 회사에서 누군가와 대화하는 것을 일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풍기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영향 때문에 심지어 옆에 앉아 있는 동료와 이야기를 하려고 해도, 고개를 돌려 진짜 대화를 하기보다는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고 있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것을 사내 커뮤니케이터를 통하지 않는다면, 남은 방법은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을 십 여분 마다 확인 한다든지, 소란스럽게 일어나서 개인적인 전화를 받으러 밖으로 나가기 일쑤다. 저도 직장에서 개인적인 전화를 한다거나 스마트폰을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지만 그것의 회수가 잦아져서 업무에 방해를 준다면 정말 문제라고 생각한다. 직장인들은 가끔은 눈치가 보여 화장실에서 몰래 이러한 것을 하는데, 당신이 한국 회사 화장실에 가면 마치 폭죽 소리처럼 팡팡 터지는 메시지 알람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주로 카카오톡 소리) 또한 모바일 게임하는 소리도 들리고, 심지어 유투브 비디오 소리도 들리는 데 그들은 정말 ‘볼일(?)’을 보면서도 이러한 것을 즐기는 모양이다.


4. 스트레스와 음주 후유증에 시달리는 직장인들 = 게으른 직장인들?


한국 회사들은 직장인들이 회식을 정기적으로 할 수 있게 장려하는 문화가 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그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도도 높이고 직원들 사이의 관계도 강화한다고 믿는다. 회식에서 술자리가 밤 늦게 이어지고 음주량이 과하더라도,  다음날 정시에 출근만 하면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놀라운 사실은 오랫동안 이런 일이 지속되었음에도 그들은 여전히 숙취가 회사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그렇게 과하게 술을 마신 직원들은 차라리 다음날 회사에 출근을 안 해도 좋을 것 같다. 왜냐하면 전날 밤 적절한 휴식과 회복을 하지 않은 직원은 그 다음날, 하루 종일 멍 때리며 두통에 시달려 그들이 그동안 회사에서 해왔던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흡연 또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이슈다. 물론 흡연이 주는 장점도 있는데, 한 시간에 한 번 정도 흡연 덕분에 밖에 나가서 신선한 공기도 마시며 스트레칭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는 그 흡연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이 상대적으 더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만약 흡연자들이 한 번 담배를 필 때 10분정도의, 하루에 6~7번 정도의 흡연 타임을 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비흡연자들은 한 시간정도 더 일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결국 비흡연자들도 하루에 3~4번 정도의 커피 break를 가지며, 그들 또한 남아 있는 휴식 시간을 즐긴다.





5. 다홍치마에 대한 지나친 집착


나의 전 직장 동료는 파워포인트를 만드는 데 이틀 정도를 사용한 적이 있다. 반나절 정도면 조사가 끝날 수준의 리포트였지만 외적인 치장을 위해, 예를 들어 차트를 만든다든지 더 멋진 이미지를 찾는다든지, 너무나도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이러한 것이 한국회사에 만연한 내실보다 외면에 집착하는 것을 보여준다. 고작 비공식적인 회의에서 10분정도 발표할 분량에 대해서도 외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그렇게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인 일이다.


6. 갓 졸업한 대학생들의 능력 부족


이 주제는 제가 언급한 주제들 중에서 더 논쟁적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대졸자들이 회사에서 필요한 역량을 갖추지 못했으며 대학 시절의 얕은 정보 가공력과 보고하는 능력에 갇혀있다는 것을 알아차린  몇 명 직장인들에게 반향을 불러 일으킬지도 모른다. 많은 젊은 대졸자들이 별다른 직장 관련 경험 없이 취업을 하게 된다. 그것이 아마 그들의 첫번째 직장일 것이다. 더욱더 믿기 어려운 것은 대부분의 남자들이 27~28세에 첫 직장을 잡는다는 것이다. (2년 간의 군복무 기간, 휴학 그리고 4년간의 대학과정) 하지만 이것들의 영향으로 취업 준비생들이 비현실적인 직업과 일에 대한 환상을 만든다는 사실이다. 네이버(아마도 진짜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는 관점에서는 최악의 검색엔진인)를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조잡한 정보 검색 능력과 대학교에서의 교육과정과 특정 교수 스타일에 맞춘 레포트 스킬과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좋은 학점을 보장할 수 있을지라도, 직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접근법은 아니다.


7. 바쁜 척하는 기술


한국의 사회 분위기에서 대체로 한국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바쁘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생각을 가진다. 회사에서 일이 바쁘지 않더라도 그들 스스로 바쁘지 않다고 하는 경우는 드물다. 나는 이러한 사고방식이 한국의 비효율적 회사 문화를 극복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정말 바쁘지 않다는 사실에 대해 그들 스스로 진실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것이 그들을 게으른 직장인으로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받아 들여야 한다. 자신의 일을 제 시간에 끝내고 집에 가는 것이 게으른 직장인과는 전혀 반대되는 사실이다. 이것이 진정으로 효율적인 것이다.   


8. 시간의 파킨슨 법칙


파킨슨 법칙은 업무라는 것이 그것을 완수하기 위해 시간에 맞추어 증가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격언이다. 한국의 노동자들은 회사가 그들이 일이 있든 없든, 야근을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것은 또 다른 형태로 노동자들이 가진 그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심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자연스레 나타나는 것이 파킨슨 법칙이다. 당신이 밤 10시까지 일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5시까지 왜 일을 마치겠는가? 당연히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


저는 한국 회사들이 생각해 봐야할 몇 가지 이슈들과 왜 한국이 낮은 노동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에 대한  몇 가지 시각들을 제공해 줄 수 있었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의견들은  일반적인 의견에 제 개인적인 생각이 첨부된 것입니다. 분명히 제가 쓴 글이 한국 회사와 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것들에 대한 모든 것을 다 포괄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저의 글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마시고, 한국 기업 문화에 대한 새롭고 흥미로운 비판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