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31 July 2014

토익 공부는 낭비다. 취직에 영어점수 필요없는 이유.

내가 한국 친구들에게 왜 영어를 공부해야 하냐고 물으면 결국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해서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영어를 배우면서 비즈니스 이메일이나 영업을 위한 국제 전화, 인터넷 리서치 등 어떤식으로 경력에 도움이 될지에 대해서는 대부분 자세히 알지 못한다. 많은 한국학생들이 영어를 공부하는 이유 중 하나는 높은 토익 점수를 얻어서 원하는 직장에 취업을 하는 것이다. 

한국 기업의 인사팀에서 일했던 나는 채용 과정에서 토익이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쓰이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사팀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국 대기업에 들어가려면 토익 점수 800점 이상이 필요하다고 말할 것이다. 다른 기업에 채용된 사람들조차도 입사 지원 시 토익 점수와 그에 필요한 자격증을 제출한다. 그러나 대부분 채용된 후 특별한 해외관련 직무를 맡거나, 인터넷으로 리서치를 하는 것 외에 영어 능력을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업무에 보탬이 되기 위한 영어를 쓸 기회가 거의 없다. 현재 한국 직장에서 필요로 하는 수준의 영어는 이미 한국 학생들이 초등학교에서 대학교까지 배우는 영어교육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많은 한국의 젊은 사람들과 그 주변사람 및 가족들은 사용할 일이 거의 없는 영어 능력을 키우기 위해 추가적인 영어교육에 수만 달러를 계속 지출한다. 


맥킨지앤컴퍼니가 2013년 한국에 대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적인 중산층 가정은 교육비로 자녀 한 명당 최대 10만 달러까지 지출한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의 수많은 영어학원의 수강료를 제외한 비용이다. 이렇게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는데도 한국의 30세 미만 실업률은 비교적 높다. 보통 한국인의 약 70%가 대학을 졸업하지만 대기업이 내놓는 일자리는 10% 정도에 불과해 취업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직장에 지원했다가 떨어진 많은 한국 젊은층들은 실업 상태에 머물면서 대학원에 지원하거나 다음 채용 시즌에 쓸 이력서에 스펙을 올리기 위해 영어 시험을 준비한다. 이 한국 젊은층들을 가리키는 '취업준비생'이라는 단어도 있다. 토익 점수를 점점 높이면서 세네 번의 채용 시즌 동안 같은 대기업에 지원하는 경우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맥킨지 보고서에서 가장 암울한 부분은 직장 생활을 하는 동안 고졸자가 대졸자에 비해 더 많은 돈을 번다는 내용이다. 대졸자가 노동 인구에 포함되는 시기가 늦기 때문이다. 2012년 한국고용정보원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 신입사원의 평균 나이는 남자의 경우 33.2세(2008년 27.3세), 여자의 경우 28.6세였다. 사실상 많은 사람들이 수천 달러를 주고 대기업에 들어갈 자격을 '구입'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몇몇 신입사원들은 영어가 실제로 필요한 해외 직무에 배정된다. 하지만 이들은 많은 경우 사내 영어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하거나 자기 시간에 맞춰 고용주가 지원하는 영어 수업을 듣는다. 

신입사원들이 직장에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왜 전체 대졸자들에게 그토록 높은 토익 점수를 기대하는 것일까? 한국에서 영어 점수와 관련된 경제적, 사회적 압박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 기업들이 해외 관련 직무를 제외하고는 채용 과정에서 영어 점수에 대한 요구조건을 아예 없애야 하는 것일까? 만약 그렇게 된다면 대담한 조치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큼은 확실하다. 신입사원들을 좀더 어린 나이에 노동 인구에 진입하게 만들어 교육에 투자하는 돈을 조금이나마 줄인다면 한국 젊은층들과 그 부모들이 교육 측면에서 훨씬 균형 잡힌 투자수익률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아마 한국의 젊은 층들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본다. 

 분명 뛰어난 영어 능력은 일부 한국 노동자들에게 필수적이며,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많은 젊은사람들이 한국 노동자에 진입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입사 예정자들이 학교에서 제공하는 것 이상의 영어 훈련을 받길 기대하고 이들이 사교육과 자격증에 의존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것은 한국의 젊은사람들과 그 가족들이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잃는 것이라고 본다.

Tuesday 29 July 2014

Young Korean Graduates Costly Obsession with English Testing


When many young South Koreans are asked why they need to study English, they’ll respond that they need it to find a good job. They won’t mention specifically how it could be useful to their potential careers, such as for business emails, international sales calls or for online research.
What they are referring to is the need to study English to get a good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EIC) score–the most widely accepted measure of English ability in South Korea. Having worked in the recruitment section of a Korean company I can say with certainty that TOEIC scores are a critical metric used in hiring decisions.
Most in recruitment will tell you that a TOEIC score above 800 is needed for employment with one of the first or second tier Korean companies. Even those employed by other companies will still have a TOEIC score and accompanying certificate on their job application.
However, once in the workforce, many Koreans will never use their English ability to its full potential. Unless they are hired for a specific “global” role, many staff will not get the opportunity to use English to benefit their work other than for some online research.
It can be argued that current standard and compulsory English education from elementary level education through university is adequate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needed for the vast majority of jobs in Korea. Yet many young Koreans and their families continue to invest tens of thousands of dollars for additional English education for a skill that will never be fully utilized.
2013 report on Korea by McKinsey & Company found that a typical middle class family shells out up to $100,000 per child on education fees, even before the costs of extra English education at one of the many English academies prevalent in Korea.
Despite this staggering investment, Korea has a relatively high rate of unemployment among those aged under 30. A major reason for this is that that although around 70% of Koreans enroll in tertiary education, major corporations only provide up about 10% of jobs available, making competition incredibly fierce for these positions.
The most damning fact from the McKinsey report was the revelation that high school graduates will earn more over their work life compared with college graduates because of the late entry of the latter group into the workforce. A 2012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und that the average age of new office workers in Korea was a staggering 33.2 years old for men (up from 27.3 in 2008) and 28.6 for females.Many young Koreans who apply but fail for such jobs are actively choosing unemployment to pursue postgraduate study options and prepare for English tests to strengthen their applications the following year. Such youngsters are referred to as “chuiupjunbiseng” or “students preparing for work”. It is not uncommon for Koreans to apply for three or four job application seasons in a row to the same group of large companies, each time with newer and presumably better TOEIC scores.
While many are spending thousands of dollars on essentially “buying” an entrance requirement to a Korean conglomerate, some new hires will be assigned to overseas jobs that require English. Those workers will often join in-house English training programs or attend classes sponsored by their employers in their own time, however. If new recruits have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at the workplace, why are they placing such high expectations for TOEIC scores on the entire new graduate workforce?
Finding a solution to the financial and societal pressures associated with English test scores in South Korea isn’t easy. Should companies abolish English test requirements completely from the application process, other than for “globally” defined jobs?
That would be a bold step, but this much is certain: allowing recruits to enter the workforce at an earlier age and reducing the amount of money invested in their education would give young Koreans and their parents a much more balanced return-on-investment for their education outlays. A byproduct of such a policy would surely be a reduction of youth stress and depression.
Without doubt, excellent English skills are vital for a portion of the Korean workforce and will benefit any young worker entering the workforce. But to expect all prospective rookie workers to go beyond English training provided during school and essentially force them to seek private education and certification seems to be costing young Koreans and their families much more than they anticip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