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29 December 2014

Korean Air "Nutrage" and Nepotism in Korea



The recent Korean Air scandal in which Heather Cho, a vice-president of the airline and daughter of its chairman, lambasted a crew member for incorrectly serving macadamia nuts not according to manual and then had the crew member removed from the flight has put the spotlight back on nepotism in Corporate South Korea.

The farce has come under heavy scrutiny and public outcry in Korea. Since news first broke the young Vice President has rightly stepped down from her position –  there really was no other option. The scandal has now progressed and a arrest warrant is being sought by prosecutors after Korean Air executives and Heather Cho allegedly sought to intimidate staff and delete evidence regarding the incident. With this all in hindsight the question must be asked – should she (or her other siblings) have even been in a position of such power within the company  in the first place?

The simple answer is no.

Regardless of the title it is likely that as the daughter of the Chairman she would have untouchable status within the company. There are no such things as outrageous demands when concerning the offspring of the Chairman. One can only speculate as to what Korean Air staff had encountered before the Macadamia incident. The argument could be made that despite the publicity stunt of resigning it will not affect her ‘power’ to influence staff in the future. After all, the title of Vice President could have been anything – from Staff or Senior Manager to simply just a passenger; she would still have the power to have made the exact same decisions.

Korean Chaebols dominate the local corporate landscape and account for a large slice of the country’s GDP pie. These major Chaebols, despite being 'publicly' listed companies are largely family controlled. Samsung, the most well-known and largest of these Chaebols is currently preparing for the transfer of power to the 45 year old son of current Chairman Lee Kun-Hee as he battles health issues.

My former company was also a family controlled medium sized Chaebol, although publicly listed the majority shareholders were all family members. I was privy to experience nepotism directly during my time at the company as I worked on the same floor and next to the team run by the 30 something, American educated son of the chairman. At the time he was in the midst of a promotion from Team Leader (BuJang) to a VP position in which he would be given responsibility of an overseas subsidiary (New Zealand). This process and quick promotion is quite extraordinary to me given the very rigid way in which Korean corporations usually promote staff and control salary.

The majority of Korean companies use a years of service / age based remuneration and promotion system. Workers start out in their late 20s as ‘Sawon’ (Staff) and are slowly but surely promoted up the chain, after around 12 to 15 years they can expect to be in a position of Team Leader, there is no climbing or ‘hopping’ up the corporate ladder in Korea, simply put if you do the time you get the reward.

I was surprised not only by the openly unfair process and selection regarding the Chairman’s son but that Korean staff seemed relatively content with the selection. It soon became apparent that nepotism was an accepted (albeit begrudgingly) part of Korean corporate culture

The Chairman’s son in my former company was promoted to team leader roughly 10 years ahead of his peers and a further 15 years ahead of his peers in the position of VP. This type of corporate ladder climbing might be somewhat comprehensible under a role-based remuneration system common in western societies in which outstanding performers are promoted or plucky entrepreneurs run start-ups but is not achievable for the average white collar Korean worker.

His appointment to a VP position of the New Zealand subsidiary was particularly uncomfortable for the workers and management of that particular company. At the time I was responsible for liaising with their office on all HR matters. Staff in New Zealand were naturally concerned - suddenly their new Company Director was the 30 something son of a Chairman, what process did he go through to attain such a position? What experience does he have? What does this mean for our company? Was it a sign of how important the chairmen felt about the New Zealand business or was he giving his son a play thing to experiment on as he is being groomed for the big job?

Upon his appointment the new VP began making changes to management and retrenching staff. Regardless of whether these decisions or any future actions were good or bad for business would be irrelevant for non-Korean staff because of the unethical way in which the position was appointed. For Korean Chaebols operating in foreign markets and dealing with foreign talent the issue of nepotism will continue to create conflict with staff, foreign shareholders and non-Korean company directors. The New Zealand managing director who formerly reported to a Korean director who was of a similar age and had over 20 years’ experience was now being forced to work under the young and untested son of the owner.

In some respects as a family run business they are of course entitled to do as they please and appoint their family members to positions of power to ensure their families grip on the immense wealth that it brings but the Korean Air saga has exposed how nepotism can hurt the reputation of the company and of Korea in international markets and media.

If top management is chosen not by merit but from Family connections then International consumers will rightly begin to question the service, safety and standards of Korean companies and by extension that of Korea,

Sunday 14 December 2014

Getting Hired in Korea - A foreigners -perspective

At least I got this T-shirt!
When I got my first job in South Korea I was lucky to be exempt from the highly competitive and pressurised recruitment process that is the norm for young Korean graduates. Like them, I filled in an application and sat a personality test (what for I still don’t know). But I had no competition and there were no nerve racking group interviews.

I was also able to skip sections in the application form that ask personal questions about family and other things. I sympathise with young Koreans who are required to give such personal information with no protection against discrimination. Really, what business is it to a Korean company what your father and mother do for a living?

At my second interview I learned that the company was also selecting Korean candidates for their graduate program at the same time. It was intriguing to see the stark contrast in our approaches to the interview. The Koreans in the waiting room were pacing up and down, sweating, nervous and trying to memorise interview answers. They were being coached on how to say hello to the CEO in the correct and polite manner by an overbearing and unpleasant human resources officer. She had good intentions but she was clearly making the candidates more nervous.

I was calm and just happy to have the opportunity. But because of the atmosphere outside of the meeting room my expectations were raised and I eventually began to stress about the formality of the interview and also the questions they would ask. I needn’t have because as is the case with so many job interviews at Korean companies the line of questioning was typically irrelevant.

“Do you like drinking?” “How many bottles of Soju can you drink?” “Do you like Kimchi?” “Where do you live?” “How old are you?” “Do you have a girlfriend?” My job interview may as well been held in the backseat of a taxi because these are the questions I would get anytime I travelled in a Seoul taxi for more than 20 minutes. Actually you could say I should thank the taxi drivers of Seoul for preparing me so well for my job interview questions because I got the job! I knew how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a way in which a middle-aged Korean man wants to hear.

I should have realised then that my high expectations for a meaningful job position in the company wear unrealistic. I was a novelty. Something ‘global.’ Somebody that looked good as an image. I fell into the typical token non-Korean work role. My team leader struggled with how to deal with me and what work to assign to me. The company wasn’t prepared for a non-Korean worker. All they knew is that they wanted to reflect a global image and I would fulfil that requirement.

Korean companies are doing the right thing in trying to diversify their workforce and seek out global talent for certain positions. But all too often the entire recruitment process and subsequent job role are treated like a novelty. In order to see the potential returns and benefits of employing non-Koreans the job roles and power placed in these candidates needs to reflect the same respect and scrutiny that is placed on Koreans.

If my former company was truly sincere in its efforts to globalise their workforce then the process I went through would have been completely different. And although it pains me to admit this, I probably wouldn’t have gotten the job because a more qualified candidate would have been chosen.

Finally, a word on how Korean graduates are selected. Companies use a variety of tools to filter them and if you consider that the biggest companies receive over 100,000 applicants a year then it is understandable. But the filtering systems are boxing talent into a mould that doesn’t cover enough areas. Young workers are entering the workforce with a history of academic credentials and test scores but very little in the way of real life or work experience.

Those that have chosen to forgo academic study and instead learn from experience are then largely overlooked for jobs due to a lack of credentials. This is another area that Korean companies should look at whe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hiring programs.

“나는 낙하산 입사 하게 되였다" - 한국기업에 취업한 외국인의 입사 이야기.

'미생' 보면서 '낙하산'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들었다. 온라인 영-한 사전을 검색했고 나는  '약간 나쁜 의미ㅡ 인맥으로 취직하는'걸로 이해했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한국에서 첫 직장을 잡았을 때 운 좋게 인맥으로 들어갔다.  다른 한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지원서를 작성하고 인적성 검사를 받기는 했지만, 경쟁자도 없었고 누구나 싫어하는 하루종일 진행하는 그룹인터뷰이나 채용팀이 있어보이려고 하는 불필요한 그룹발표 등도 없었다. 그땐 그냥 나는 외국인이라서 다른 방법으로 취직하는거라고 생각했었다. 어차피 대부분 한국에서 취직하는 외국인들은 네트워킹으로 일자리 잡는거다. 그런데 미생 보고 알게 되었다 - 나는 낙하산으로 입사 하게 되었다.

나는 신입으로 들어갔지만 호주 대사관에서 2년정도 직장을 다닌 경험이 있다; 그래서 나는 이력서랑 자기소개서만 보내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 한국조직에 있는 인사팀 채용직원이 한국식 지원서를 주면서 작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 회사의 지원서는 한국식 이력서와 비슷했지만 내가 상상하지 못했던 부분이 좀 있었다. '가족사항', '건강상태' 등 이런 부분들이 였고, 나는 일부러 무시한채 이력서를 작성했었다. 나는 그 상황에서 '나의 아버지 대학교 어딘지, 현재 무슨일 하고 있는지 등이 내가 이 회사에 지원하는 것과 무슨 상관이야?' 이런 생각을 했었다. 이런 정보를 가지고 차별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나는 외국인이라 무시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한국 젊은이들에 대해 연민을 느낀다. 그런 부분으로부터 채용 차별을 받을 수 있는건데, 만약의 상황에 대해 지원자들을 보호하는 채용 차별 법 등이 있을까?

내 입장에서 보고 불필요한 부분들은 넘기고 지원서를 대충 작성하고 보냈다. 그리고 바로 몇일뒤 면접보러 오라고 연락이 왔다. 1차 면접이 나는 마지막 면접인 줄 알았었다. 보통 호주에서 경험직이라면 이력서를 보낸 후 면접보고 끝이다 (너무 간단한건가?). 그때 인사팀의 이사님과 일대일로 그냥 편안하게 이야기를 했다. 인맥으로 내 이력서를 받았으니까 제대로 된 면접보다 커피한잔 하고 수다 떠는 듯한 진행을 했었다. 하지만 이 면접이 끝나고 나서 다시 연락이 왔다. 2차 면접이 있다고....2차 면접에서 나는 이 회사가 한국인 신입사원 채용 면접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지금까지 나는 혼자서 '외국인' 경험직으로 채용하는 줄 알았지만 사실은 나는 다른 한국 젊은이들과 같이 채용하는 것이였다. 나와 한국인 지원자들과의 면접을 대하는 태도가 매우 대조적이어서 흥미진진했다.

차례를 기다리며 대기실에 있던 한국인 지원자들은 왔다갔다 하면서 긴장된 모습으로 면접 질문에 대한 대답을 외우려고 애쓰고 있었다. 회사 회장은 무슨 왕인가 싶은 정도로 한국인 지원자들이 그만큼 긴장하고 있었다. 회장 회의실 문 앞에서, 나는 나보다 나이가 있는 지원자와 함께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웃으면서 말했다 - 걱정마라 이 면접은 의미없다 마지막 면접은 그냥 확인하는 거라고 알려줬다. 하지만 그 형은 내 말을 듣지않았다. 어쩌면 당연하다. 나는 사실 이 면접 기회를 얻은 것이 기쁠 뿐이였다. 한국에서 살고있는 외국인으로 많지 않은 기회인데 참석만해도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편하게 하려다가 밖에 있는 분위기 탓에 나도 갑자기 긴장되며 기대가 높아지면서 면접에 어떤 질문 나올건지 회장님이 어떤 생각할건지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면접 시작하자마 걱정 안 해도 된다는것을 깨달았다. 회장님의 첫 질문은 바로 "마이클이 한국이 좋아요?"이였기 때문이다.

“술 좋아하세요?”, “소주 몇 병까지 마실 수 있나요?”, “어디 사세요?”, “몇 살이세요?”, "김치 먹을 수 있나요?" , “여자친구 있나요?” 등등. 내 마음속에선 크게 웃고 있었다. 이거 진심이야? 이 면접은 택시 뒷좌석에서 봐도 될 정도였다. 생각 해보면 나는 서울택시 아저씨들에게 감사하다는 말 전해 드리고 싶다. 3년동안 매번 택시를 탈때마다 나에게 이런 똑같은 질문들을 물어본 덕분에 나는 면접을 완전히 잘 봤다. 회장님과 택시기사님은 큰 연봉차이 있지만, 똑같은 한국인 아저씨였다 - 그분들이 듣고 싶은 말을 알고있어서, 나는 그 질문에 대해 완벽하게 답장을 했다. 당연히 술 잘 마신다고, 김치를 엄청 사랑한다고 등등 했었죠.

그런데 그때부터 나는 알아야 했을 것이다. 회사에서 의미있는 업무를 담당하는 것에 대한, 내 높은 기대가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나는 신기하고 다른 존재였다. 뭔가 ‘글로벌’한 사람이 었다. 겉보기에 그럴듯한 ‘대외 이미지용’ 인물이었다.

팀장은 나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그리고 나에게 어떤 업무를 맡겨야 할지를 몰랐었다. 그런 부분들 나는 이해했다. 외국에 경험이 없는 한국아저씨 팀장, 사실 밑에 있는 외국인직원에게 어떻게 해야할까 많이 고민했었을거야, 좀 불쌍하면서도 서로 답답했었을거야; 나는 한국 신입처럼 "네"보다 "왜" 계속 했었다. 팀장님은 나에게 화를 낸적이 없었지만 아마도 머리속에 몇번이나 욕하고 있었을거야 - 이 외국인놈아 내가 시킨대로 왜 안하냐? 왜 나한테 반대하냐? 등. 이 회사는 외국인 직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있지 않았다. 글로벌 이미지를 키우고싶은 편에서 나를 뽑았지만 글로벌 비즈니스; 방식 등 원하지 않았었다.

한국 기업의 구성원 다양화 노력, 그리고 특정 포지션에 맞는 글로벌 인재를 채용하려는 시도는 좋으나, 외국인 직원 채용 절차와 그 절차를 통해 채용된 직원에게 주어지는 역할이 다르고 예외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외국인 직원을 고용해 회사의 이득과 혜택을 얻고 싶다면, 그들의 역할과 권한에 대해 한국인 직원과 똑같이 상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의 전 직장이 진지하게 인력 글로벌화 노력을 기울였더라면 채용 절차가 100% 달라졌을 것이다. 인정하기는 싫지만, 그랬었더라면 나는 그 일자리를 잡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나보다 더 능력이 뛰어난 인재가 채용됐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미생에 외국인이도 나왔으면 얼마나 재미있었을까.... ?

Wednesday 3 December 2014

나도 담배를 펴야되나요? 남자신입사원의 고민.



중요한 거래처와 2시간 동안 미팅을 했다.

중요한 미팅이라서 우리 팀원분들 총 5명이 모두 다 참석했다.  미팅이 끝난 후 나는 회의실 나가자마자 이 중요한 회의에 관련된 내용을 따로 팀원들과 이야기 나누고 싶었다.  그래서 바로 부서 쪽으로 가서 이야기를 나누려고 했지만, 한국인 팀원들의 발걸음은 부서 쪽으로 향하지 않았다.
팀장님은 나에게 “담배 피고 올께, 마이클” 이렇게 말을 건내고 나가셨고, 나는 그 순간에 갈까 말까 고민하다가 “알겠다”고 대답한 후 혼자서 돌아갔다. 괜찮다고 생각하고 싶어도, 마음속에서는 어쩔수없이 계속 고민하고 있었다. '나도 갔을걸 그랬나?' 라는.. 나는 팀원들이 나를 싫어하는게 아니라는걸 알지만, 괜히 그때 순간 만큼은 나를 버렸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 나도 같이 갈수있었지만, 내가 안갔으니까 그건 나의 문제야.' 라고 다시 생각했고, 사실은 나도 다른 사람들의 담배 연기를 마시면서 중요한 이야기 하고싶지 않았다. 내가 담배 피우지 않으니까, 당연히 팀원들이 이제 나에게 같이 나가자고 초대도 하지않는다. 하지만 '담배 피우러 가자'라고 하는 말은 단순한 스트레스 해소용 흡연이 아닌 또 다른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밖에 나가서 이야기 하자”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좀 있다가 다들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되겠다”라고 생각 했는데, 20분~30분정도 지난 후 드디어 팀원들이 돌아왔다. 당연히 그동안 그 회의에 대한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앞으로 이 거래처와 어떻게 할건지 결정도 나왔을 것이다.  나도 그 자리에서 팀원들과 같이 의견도 나누고, 그 분들과의 비공식적인 생각과 정보를 듣고 싶었었다.
그렇지만  나는 그 댐배놈때문에 그 회의보다 더 중요한  “팀원들의 담배 회의”에 빠져있었다. 

어떻게 보면 나는 담배 안피우니까 팀원분들과 사이  조금 다르게 키우고있다. 그 사람들이 담배피우면서 더 편안한 분위기로 사무실에서 할 수 없는 개인적인 대화도 하고 사무실에 생기는 가십이나 소식에 대한 많은 이야기도 한다. 나도 내 팀이랑 친해지려면 담배피워야되나? 다른 방법이 없나? 나는 담배피우면 뭐 어때? 내 진실성과 자주 그렇게 싸웠다. 

담배 안 피우니까 어떨때는 어쩔수없지만 가능한 만큼 나도 몇번이나 회사 건물 앞에 있는 “담배 카페”로 같이 나갔다. 비타500 사가지고 할 수 있는 만큼 간접 흡연 피하면서 대화했다. 지금 생각해보니까 나는 한국조직 다니면서 일주일에 3-4번이나 남들의 담배연기 마시는 적이 있었다. 근무시간 아니라도 회식에 가서  마신 적도 많다. 회식자리에 항상 나오는 말이 있었다 - “마이클 나 여기서 담배펴도되?” 물어보는 팀장에게 내가 어떻게 거절해?
“그럼! 나는 문제 없지”라고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었다. 팀장님이 예의가 있어서 물어보는건데 나도 눈치때문에 거절하기 힘들었었다. 왜냐하면 내가 거절했으면 그 자리에 있는 흡연자들이 다들 같이 일어나서 밖으로 나갔으면 난 또 다시 그 비공식 모임에 빠질수가 있다 . 마음속에 “미안해요; 폐암 걸리고 싶지않아서 밖으로 나가주세요” 라고 했었다.

다행히 나는 회식에서 술 조금 먹을 수 있으니까 팀원들이랑 더 친한 사이 만들 수 있었는데 많은 한국남자 신입사원들이 그 담배문화에 빠지게 되면 부담되고 앞으로 힘들수가 있기 때문에 나처럼 계속 거절 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여자 직원들도 더욱 더 힘들겠다고 생각한다. 여자 직원들이 팀원들과 같이 내려가서 담배 피우면 안 좋은 이미지 갖게된다. 이걸 말도안되는 이중 잣대이지만 불편한 진실 인 것 같다. 술까지 못하면 거의 다른 팀원들과 커뮤니케이션 기회가 없을거다. 사무실에 눈치보이니까 많은 이야기 못하고 모르는 업무에 대해서도 부끄러워서 물어볼수가 없다. 

회사도 담배 문화 때문에 손해 받는 점이 있다. 그건 바로 시간 낭비이다. 담배 피우는 직원들이 한 시간에 한 번 정도 흡연 때문에 밖에 나간다.  한 번 담배를 필 때 10분정도의, 하루에 6~7번 정도의 흡연 타임을 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흡연자들은 한 시간정도 밖에서 지낸다.  

그래서 나는 한국대기업들이 이 담배문화를 바뀌려고 노력 더 했으면 한다. 사무실 건물 앞에 금연지역 시킨 던지 인사팀통해서 프로그램들을 만드던지; 지금까지 비흡연자들만 피해자 되었다.